맨위로가기

제1차 수단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수단 내전은 1955년부터 1972년까지 수단 북부와 남부 간에 벌어진 내전이다. 영국-이집트 수단 시절, 북부 엘리트의 정치적 권력 독점과 남부 소수 민족의 차별에 대한 불만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1955년 토릿 반란을 시작으로 아냐냐 게릴라 군대가 결성되어 무력 충돌이 격화되었으며, 1964년 10월 혁명과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1972년 아디스아바바 협정으로 종전되었으나, 협정의 한계로 인해 1983년 제2차 수단 내전이 발발하여 남수단의 독립에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으로 50만 명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수십만 명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수단이 참전한 전쟁 - 제2차 수단 내전
    제2차 수단 내전은 1983년부터 2005년까지 수단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북부 아랍계 무슬림 정부와 남부 비아랍계 주민 간의 종교적, 민족적 갈등, 경제적 불평등, 자원 통제권 다툼, 이슬람화 정책 등이 원인이 되어 발발했으며 2005년 포괄적 평화 협정 체결 후 2011년 남수단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남수단이 참전한 전쟁 - 남수단 내전
    남수단 내전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남수단에서 살바 키르 대통령 지지 세력과 리크 마차르 전 부통령 지지 세력 간의 정치적 갈등, 민족적 긴장, 과거 내전의 영향으로 발생한 무력 충돌로, 평화 협정 이후에도 갈등이 종식되지 않아 인도주의적 위기를 야기했다.
  • 남수단의 역사 - 제2차 수단 내전
    제2차 수단 내전은 1983년부터 2005년까지 수단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북부 아랍계 무슬림 정부와 남부 비아랍계 주민 간의 종교적, 민족적 갈등, 경제적 불평등, 자원 통제권 다툼, 이슬람화 정책 등이 원인이 되어 발발했으며 2005년 포괄적 평화 협정 체결 후 2011년 남수단 독립의 계기가 되었다.
  • 남수단의 역사 -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는 수단 내전 종식의 일환으로 실시되어 남수단의 독립을 결정했으며, 압도적인 지지로 독립이 가결되어 2011년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독립했다.
  • 우간다가 참전한 전쟁 - 우간다 내전
    우간다 내전은 1980년 선거 이후 시작된 반군 세력의 반란으로, 1986년 요웨리 무세베니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종식되었지만, 10만 명에서 50만 명의 사망자와 심각한 인권 유린을 야기했으며, 이후에도 북부 우간다에서 산발적인 충돌이 이어진 전쟁이다.
  • 우간다가 참전한 전쟁 - 제1차 콩고 전쟁
    제1차 콩고 전쟁은 모부투 세세 세코 정권의 부패와 르완다 내전의 여파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자이르에서 일어난 분쟁으로, 르완다와 우간다의 지원을 받은 반군이 승리하여 모부투 정권을 무너뜨리고 콩고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제1차 수단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이름제1차 수단 내전
일부수단 내전
기간1955년 8월 18일 – 1972년 3월 27일
장소남수단
결과교착 상태
아디스아바바 협정 체결
남수단 자치 지역 설립 및 다양한 권한 부여
교전 세력
교전국 1영국 (1955년-1956년)
이집트 (1955년-1956년)
[[파일:Flag of the Governor-General of the Anglo-Egyptian Sudan.svg|22x20px]] 앵글로-이집트 수단 (1955년-1956년)
[[파일:Flag of Sudan (1956-1970).svg|25x20px|수단의 국기]] 수단 (1956년-1970년)
[[파일:Flag of Sudan.svg|25x20px|수단의 국기]] 수단 (1970년-1972년)
전투 지원:
우간다 (우간다 영토 내 공동 작전, 1965년–1969년)
리비아 (1969년부터, 최소 1970년부터 전투 참여)
비전투 지원:
이집트
소련
영국
중국
유고슬라비아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사우디아라비아
리비아 왕국 (1969년까지)
알제리
미국
서독
교전국 2[[파일:Flag of the Sudan Defense Force (1925-1956).svg|22x20px]] SDF 반란군, 강도, 비제휴 분리주의 민병대
[[파일:Flag of the Azania Liberation Front.svg|22x20px]] ALF (1965년–1970년)
[[파일:Sn anyaanya1.PNG|22x20px]] 아냐냐 (1963년부터)
이스라엘 (1969년부터)
지원 세력:
에티오피아
우간다 (1970년경부터)
콩고 레오폴드빌
케냐
프랑스
지휘관
지휘관 1[[파일:Flag of the Governor-General of the Anglo-Egyptian Sudan.svg|22x20px]] 알렉산더 녹스 헬름
[[파일:Flag of Sudan (1956-1970).svg|25x20px|수단의 국기]] 이스마일 알아즈하리
[[파일:Flag of Sudan.svg|25x20px|수단의 국기]] 가파르 니메이리
지휘관 2[[파일:Sn anyaanya1.PNG|22x20px]] 조세프 라구
[[파일:Flag of the Nile Republic.svg|22x20px]] 고든 무오르타트 마옌
[[파일:Flag of Israel.svg|22x20px]] [[파일:Sn anyaanya1.PNG|22x20px]] 다비드 벤-우지엘
병력
병력 1수단군: 6,000–7,000명 (1955년), 36,000명 (1971년 후반)
병력 2아냐냐: 6,000–12,000명, 약 18,000명 (1960년대 후반)
사상자
사상자 3500,000명 – 100만 명 사망 (전투원 100,000명 이상 포함)

2. 배경

2. 1. 식민지 시대

1956년까지 영국 정부는 이집트 정부와의 공동 통치 하에 수단 북부와 남부를 각각 별개의 식민지로 관리했다. 당시 두 지역은 모두 영국-이집트 수단을 구성했지만, 북부 엘리트의 정치적 압력으로 단일 행정 지역으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남부 소수 민족 지도자들과의 협의 없이 이루어졌으며, 이들은 식민지 정치 구조에서 북부 엘리트의 정치적 권력에 흡수될 것을 우려했다. 또한, 영국 식민 정부는 아프리카 탈식민화 과정에서 북부 엘리트를 편들어 독립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그들에게 대다수의 정치적 권력을 부여했다.

1956년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한 후, 남수단 주민들의 북부에 대한 민족적 및 내부적 긴장은 식민지 이후 재건 과정에서 더욱 고조되었다. 정치적 불평등, 경제 개발 및 제도적 부족에 대한 우려가 국제 사회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수단 내부를 괴롭혔다. 북부 정부는 민주적 성장의 내부적 혼란이라는 명목 하에 남부 소수 민족에 대한 차별적인 폭력을 자행하면서, 정부간 개발 기구의 관할권을 넘어섰다.

2. 2. 독립 이후

2. 3. 관점

2. 3. 1. 북부

수단 북부 엘리트들은 제1차 수단 내전의 원인에 대해 두 가지 해석을 널리 받아들였다. 첫 번째 해석은 남부의 적대 행위가 영국 식민 정부에 대한 남부의 불만 잔재 때문이라고 보았고, 두 번째 해석은 남부 반군이 지배 정부에 도전하려는 시도로 보았다. 이 두 가지 해석 모두 자신들의 통치에 대한 불만과 증가하는 반란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우지 않았다. 반대로, 지배 계급은 갈등의 지속을 남부의 기독교와 근대성의 통합을 합리화하는 것으로 엄격하게 연결시켰다.[13]

2. 3. 2. 남부

남부 주민들은 남북 전쟁의 발발을 불가피한 것으로 여겼다. 수단 독립 이후 남부 엘리트들은 새로 수립된 정부 내에서 사실상 무력했다. 남부 정치인들은 카르툼 정부 내에서 미미한 영향력과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자신들의 주민에 대한 불의를 해결할 수 없었다. 그들은 소수 민족으로서뿐만 아니라 국가 내 종교적 소수자로서 심각한 적대감에 직면했다.[14] 영국 식민 통치가 시작된 이후, 남수단 사람들은 서구 사상에 접하게 되었다. 비록 그 지역에서 정치적 평등과 산업화가 눈에 띄게 발전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기독교와 서구 이상의 개념을 해석하여 자신의 문화에 적용했다. 따라서 정치적 대표성의 부족 외에도, 북부 정부의 강압과 진보를 이룩하는 데 있어 문화적 제약은 전쟁 발발의 중요한 요인이었다.[15]

3. 내전의 전개

3. 1. 봉기

1955년 8월 18일, 영국 통치하의 수단 방위군(SDF) 에콰토리아 군단 제2중대 소속 병사들이 토릿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그 후 며칠 동안 주바, 예이, 마리디에서도 반란이 발생했다. 반란의 직접적인 원인은 남부 출신 국회의원의 재판과 남부의 북부 행정관들에게 남부 주민들을 탄압하라는 내용의 허위 전보였다. 반란은 북부에서 파병된 다수의 군대로 진압되었지만, 생존자들은 도시에서 도망쳐 농촌 지역에서 무계획적인 반란을 시작했다. 무장이 부족하고 조직력이 없었던 그들은 떠나가는 식민 지배 세력과 새로 수립된 수단 정부에 거의 위협이 되지 못했다.

3. 2. 군사 개입의 확대

반군은 1955년 반란군과 남부 학생들로 구성된 분리주의 운동으로 점차 발전하여 아냐냐 게릴라 군대를 결성했다. 이들은 '아냐냐 1'로도 알려져 있다.[16]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에콰토리아에서 시작된 아냐냐는 상부 나일과 바흐르엘가잘 전역으로 확산되어 북부군의 기동 능력에 압력을 가했다.[16] 그러나 분리주의 운동은 "니롯족"과 "에콰토리아족" 집단 간의 내부 민족 분열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10] 수단군의 4개 보병 여단 중 하나가 1955년부터 에콰토리아 주에 주둔해 필요에 따라 정기적으로 증강되었다.

정부는 자체 파벌주의와 불안정으로 인해 반군의 약점을 이용할 수 없었다. 이스마일 알 아자리 수상이 이끈 수단의 첫 독립 정부는 여러 보수 세력의 교착 상태에 놓인 연정으로 곧 대체되었고, 이는 다시 1958년 참모총장 이브라힘 아부드 준장의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3. 3. 1964년 10월 시위

1964년 10월 20일 저녁, 수단 헌장 대학교에서 "남수단 문제"에 관한 세미나가 열리던 중 보안군이 급습하면서 군사 정부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었다. 이 사건은 전국적인 시위와 총파업을 촉발시켰고, 결국 1964년 10월 압두는 대규모 시민 불복종에 직면하여 사임하고 임시 정부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10월 혁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시위에는 당시 학생 운동가였던 이슬람주의 정치인 하산 알 투라비가 처음으로 등장했다.[17]

3. 4. 정치적 혼란

집권 군부 내 마르크스주의와 비마르크스주의 세력 간의 내분은 1971년 7월 또 다른 쿠데타로 이어졌고, 반공 세력이 니메이리를 다시 권력으로 복귀시키기 전까지 수단 공산당의 짧은 집권이 있었다.[18] 같은 해, 반군들에게 비밀리에 자문을 해왔던 롤프 스타이너/롤프 스타이너deu우간다 캄팔라에서 체포되어 수단 수도 카르툼으로 추방되어 반정부 활동으로 재판을 받았다.[18] 원래 사형 선고를 받았지만, 서독 정부의 압력으로 3년만 복역하고 석방되었다.[18]

3. 5. 통일 남부 전선

아그레이 자덴(Aggrey Jaden)이 이끌던 남수단은 1969년 내부 정치적 분쟁으로 고든 무오르타트 마옌(Gordon Muortat Mayen)이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되었다.[10] 남수단은 수도 하르툼과 전쟁을 재개했지만, 전 지도자 자덴의 부대 일부는 딩카족 지도자를 받아들이지 않고 아냐냐(Anyanya)와 싸웠다. 1971년, 전 군 중위 조셉 라구(Joseph Lagu)는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켜 남수단 해방 운동(SSLM)을 결성하였다.[10] 이는 분리주의 운동이 독립 국가 건설이라는 공동 목표를 가진 통일된 지휘 구조를 갖춘 최초의 사례였다.[19]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WCC)와 아프리카전교회협의회(All Africa Conference of Churches)(AACC)의 중재로 1972년 3월 아디스아바바 협정이 체결되어 분쟁이 종식되었다.[20]

4. 아디스아바바 협정과 그 영향

제1차 수단 내전 초기부터 아디스아바바 협정까지 50만 명에서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으며, 그중 5명 중 1명만이 무장 전투원으로 간주되었다. 수십만 명이 더 강제 이주를 당했다.[21] 아디스아바바 협정은 에티오피아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에 의해 준수되었고, 남수단의 지역 자치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는 남부 지역 정부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지역 의회와 집행 평의회와 같은 기관을 입법부와 행정부로 두었다.[22]

짧은 평화의 휴전은 수단에 상대적인 평온과 번영의 시기를 가져왔다. 이 협정은 남수단이 카르툼 정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중요한 불만 중 일부를 해결할 수 있었다. 지역을 주권으로 인정하고 주요 정치 기관을 설립한 것은 주요 발전의 몇 가지 예일 뿐이다.[23] 또한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고, 남수단은 북부 정부보다 지역의 법 집행 기관이 주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남부는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었고 북부 수단 정권 하에서만 자치를 유지해야 했다.[23]

따라서 이 협정은 남수단에 대한 평화 유지의 확실한 수단이 없는 일시적인 휴전에 불과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1970년대 중반 북부의 침해는 남부의 사회 불안을 증가시켜 1983년 군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거의 22년간 지속된 제2차 수단 내전을 촉발하여 남수단의 완전한 독립에 기여했다.[24]

4. 1. 협정 체결

4. 2. 협정의 내용과 의의

4. 3. 한계와 제2차 내전 발발

아디스아바바 협정은 남수단 지역 자치를 인정하고, 지역 의회와 집행 평의회 등 주요 정치 기관을 설립하였으며, 새로운 헌법 제정과 함께 남수단의 법 집행 기관이 북부 정부보다 우선하게 되는 등 여러 개선을 가져왔다.[23] 그러나 이 협정은 남수단이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고 북부 수단 정권 하에서만 자치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평화 유지를 위한 확실한 수단이 없는 일시적인 휴전에 불과했다.[23] 1970년대 중반 북부의 침해는 남부의 사회 불안을 증가시켰고, 결국 1983년 군 반란으로 이어져 제2차 수단 내전이 발발하게 되었다.[24]

5. 인명 피해 및 결과

전쟁 초기부터 아디스아바바 협정까지 50만 명에서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했으며, 그중 5명 중 1명만이 무장 전투원으로 간주되었다. 수십만 명이 더 강제 이주를 당했다.[21] 아디스아바바 협정은 에티오피아하일레 셀라시에 황제에 의해 준수되었고, 남수단의 지역 자치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는 남부 지역 정부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지역 의회와 집행 평의회와 같은 기관을 입법부와 행정부로 두었다.[22]

짧은 평화의 휴전은 수단에 상대적인 평온과 번영의 시기를 가져왔다. 이 협정은 남수단이 카르툼 정부에 대해 가지고 있던 중요한 불만 중 일부를 해결할 수 있었다. 지역을 주권으로 인정하고 주요 정치 기관을 설립한 것은 주요 발전의 몇 가지 예일 뿐이다.[23] 또한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고, 남수단은 북부 정부보다 지역의 법 집행 기관이 주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남부는 자체 군대를 가질 수 없었고 북부 수단 정권 하에서만 자치를 유지해야 했다.[23]

따라서 이 협정은 남수단에 대한 평화 유지의 확실한 수단이 없는 일시적인 휴전에 불과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1970년대 중반 북부의 침해는 남부의 사회 불안을 증가시켜 1983년 군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거의 22년간 지속된 제2차 수단 내전을 촉발하여 남수단의 완전한 독립에 기여했다.[24]

6. 관련 인물

7. 관련 단체

8.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Addis Ababa Agreement: was it destined to fail and are there lessons for the Current Sudan Peace Process? http://www.persee.fr[...]
[2] 서적 War and Politics in Sudan: Cultural Identities and the Challenges of the Peace Process I.B.Tauris
[3] 웹사이트 Sudan, Civil War since 1955 http://www.acig.info[...]
[4] 서적 The Root Causes of Sudan's Civil Wars: Peace Or Truce Boydell & Brewer Ltd
[5] 웹사이트 Sudanese MOD website http://www.mod.sd 2024-04-00
[6] 논문 Sudan, 1972-1983
[7] 웹사이트 De re Militari: muertos en Guerras, Dictaduras y Genocidios. Capítulo I. http://remilitari.co[...]
[8] 서적 South Sudan: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9] 서적 South Sudan: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학술지 Sudan: In a Procrustean Bed with Crisis https://brill.com/vi[...]
[11] 학술지 Challenges of Regulat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 an Examination of Ongoing Trends in South Sudan's Civil War https://brill.com/vi[...] 2015-08-27
[12] 학술지 Challenges of Regulating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 an Examination of Ongoing Trends in South Sudan's Civil War https://brill.com/vi[...] 2015-08-27
[13] 서적 Civil wars in Africa : roots and resolution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4] 서적 Civil wars in Africa : roots and resolution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5] 학술지 The role of education in Sudan's civil war 2012-12-08
[16] 서적 War and politics in Sudan : cultural identities and the challenges of the peace process Bloomsbury Academic 2012-11-26
[17]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8] 서적 South Sudan :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2013-01-11
[19] 서적 South Sudan :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2013-01-11
[20] 서적 From Civilians to Soldiers and from Soldiers to Civilians: Mobilization and Demobilization in Sudan https://books.goog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1] 서적 South Sudan :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2013-01-11
[22] 서적 South Sudan :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2013-01-11
[23] 서적 South Sudan : from revolution to independence 2013-01-11
[24] 서적 Civil wars in Africa : roots and resolution https://archive.org/[...]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Sudan Civil War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12-06
[26] 웹사이트 Sudan, Civil War since 1955 http://www.acig.info[...] 2015-01-07
[27] 서적 The Root Causes of Sudan's Civil Wars: Peace Or Truce Boydell & Brewer Ltd
[28] 서적 War and Politics in Sudan: Cultural Identities and the Challenges of the Peace Process I.B.Tauris
[29] 웹인용 Sudan Civil War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1-12-06
[30] 서적 First Sudanese Civil War: Africans, Arabs, and Israelis in the Southern Sudan 1955-1972 Palgrave Macmillan
[31] 웹인용 Sudan, Civil War since 1955 http://www.acig.info[...]
[32] 서적 The Root Causes of Sudan's Civil Wars: Peace Or Truce https://archive.org/[...] Boydell & Brewer Ltd
[33] 서적 War and Politics in Sudan: Cultural Identities and the Challenges of the Peace Process I.B.Taur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